하수도 소개
-
하수도가 우리의 생명을 지켜줍니다.
- 전세계적으로 하수도 시설이 없어 하루에 1만 4천 명이 사망하고 있습니다.
- 수인성전염병(장티푸스, 콜레라 등)에 대한 최고의 예방의료시설이 바로 하수도입니다.* 현대의학 최고의 성과는 맑은 물과 하수도(2007.1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)
-
하수도는 처리장과 관로로 구성됩니다.
- 가정하수는 하수관로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고
- 하수처리장에서는 깨끗이 처리되어 하천에 방류됩니다.* 좋은 하수도는 관로와 처리장이 올바르게 설치되어야 합니다.
-
하수도는 도시의 혈관이면 신장입니다.
- 몸의 노폐물이 신장(콩팥)에서 제거되듯이 하수는 하수처리장에서 깨끗해집니다.
- 하수관로는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보내는 도시의 혈관입니다.* 혈관과 신장 역할을 하는 하수도가 미비하면 도시는 제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.
생활환경을 개선합니다. | 냇물과 강을 되살아나게 합니다. | 침수피해를 예방합니다. | |
---|---|---|---|
골목길이 지저분해지고 병원균과 해충, 악취가 발생합니다. |
오염된 물이 하천수질을 악화 시키고 생태계를 파괴합니다. |
작은 비에도 도시가 침수되어 인명, 재산 피해가 발생합니다. |
|
공중위생이 향상되고 쾌적한 생활환경이 조성됩니다. |
오염된 물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 되므로 하천 생태계가 살아납니다. |
빗물이 잘 배수되므로 물난리 걱정이 사라집니다. |
우리가 사용한 물은 이렇게 처리됩니다.
-
하수발생
가정, 음식점 등에서 오수가 배출됩니다.
-
배수설비
버려진 오수는 오수받이에 모여 하수관로에 연결됩니다.
-
하수관로
오수는 오수관을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집니다.
-
하수처리장
하수처리장은 오수를 깨끗이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.
아하~ 그렇군요!
-
배수설비, 하수관로, 하수처리장은 실과 바늘 입니다.
실과 바늘 모두가 있어야 바느질을 할 수 있듯이 배수설비, 하수관로, 하수처리장 중 어느 하나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우리가 쓰고 버린 오수를 깨끗이 처리할 수 없습니다.
-
슬러지는 하수찌꺼기를 말합니다.
하수처리를 하면 깨끗한 물과 하수찌꺼기로 분리됩니다. 이 하수찌꺼기를 슬러지라고 하며 수분을 충분히 뺀 후에 소각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합니다.
분류식/합류식 하수도의 차이
구분 | 분류식 | 합류식 |
---|---|---|
시설 | ||
장점 |
|
|
단점 |
|
|
시설계획 |
|
|
아하~ 그렇군요!
-
최근에는 분류식 하수도를 많이 설치하고 있습니다.
대부분의 기존하수도는 적은 예산 때문에 오수처리와 침수방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합류식 하수도로 되어 있으나 신도시를 중심으로 분류식 하수도가 확대 도입되고 있습니다.
-
분류식, 합류식, 도대체 어떤 것이 좋은 거죠?
분류식 하수도가 바람직하나 분류식이 어렵거나 합류식으로도 수질 보전이 가능한 경우에는 합류식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.
I/I(Infiltration/Inflow, 침입수/유입수)란?
관로내부로 들어오는 오수 이외의 물을 말하며 관로불량으로 침입하는 지하수(침입수)와 오접 등으로 관로에 유입하는 빗물, 계곡수(유입수)로 구분합니다.
문제점 |
|
---|---|
대책방안 |
|
CSOs(Combined Sewer Overflows, 합류식하수도 월류수)란?
합류식하수도에서 우천 시에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빗물이 유입되어 하수(빗물+오수)의 일부가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하천에 방류되는 것을 말합니다.
문제점 |
|
---|---|
대책방안 |
|
SSOs(Sanitary Sewer Overflows, 분류식하수도 원류수)란?
분류식하수도에서 오수관로나 맨홀로 불명수가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하천에 방류되는 것을 말합니다.
문제점 |
|
---|---|
대책방안 |
|
하수처리장은 오염된 물을 깨끗한 물로 바꾸는 마법사입니다. | |
---|---|
미생물과 각종처리시설을 이용하여 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합니다. |
하수처리장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되므로 하천 수질이 깨끗하게 유지됩니다. |
아하~ 그렇군요!
-
옛날에는 하수처리장이 없었나요?
옛날에는 하수량이 많지 않고 오염이 심하지 않아 자연의 힘(자정작용)만드로도 깨끗이 될 수 있어 하수처리장이 필요 없었습니다.
-
왜 유기물이 오염물질인가요?
물속에 있는 미생물은 유기물을 먹기 위해 산소를 사용하는데 물 속의 산소를 모두 사용하면 다른 생물이 살 수 없게 되어 악취가 나는 더러운 물로 변하게 됩니다. 그래서 유기물이 오염물질입니다.
하수처리란?
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중의 오염물질(유기물, 질소, 인 등)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처리과정은 이렇습니다.
-
1차처리
침전으로 오염물질 1차 제거
-
2차처리
포기-침전으로 유기물 제거
-
고도처리(3차처리)
-
2차처리 후 추가 처리로 수질 개선
-
질소와 인 등 영양염류 제거
-
활성슬러지공법
- 대표적인 2차처리 방법(유기물제거)
- 활성슬러지(미생물덩어리)가 오염물질을 먹고 가라앉아 깨끗한 물로 분리됩니다.
- 활성슬러지의 일부는 미생물 농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해 포기조로 다시 돌려보내집니다.
A2O공법
- 대표적인 고도처리 방법(유기물, 질소, 인 제거)
- 활성슬러지공법에 비해 질소, 인 제거율이 높습니다.
- 유기물, 질소, 인을 먹는 미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하나의 생물 반응조에 조합합니다.
- A2O는 혐기-무산소-호기의 영어 첫 글자로 마지막 O는 호기조(Aerobic)의 Oxic을 의미합니다.
아하~ 그렇군요!
-
다른 고도처리공법은 없나요?
- SBR계열: 혐기조, 무산소조, 호기조, 이차침전지를 하나의 반응 조에서 순서대로 운전
- 담체계열: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담체(스폰지)를 하수 중에 주입하여 처리
- MBR계열: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막을 이용하여 처리
- 특수미생물계열: 하수처리에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적으로 배양하여 처리
하수관로는 이렇게 설치합니다
-
-
포장깨기
-
터파기
매설깊이 및 위치
-
-
-
관로부설
-
관로검사
관경과 경사
-
-
-
되메우기
-
포장
접합과 연결
-
아하~ 그렇군요!
-
하수관로도 A/S(유지관리)가 필요해요
하수관로에 쓰레기나 흙이 들어와 막히면 하수가 제대로 흐르지 못하고 퇴적물이 썩어 악취가 발생합니다. 그래서 퇴적물을 정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.
합류식관에서 우수토실은 왜 필요하죠?
하천이 오염됩니다. | 효율이 저하됩니다. | 일부는 하천으로! |
---|---|---|
공기 중이나 도로의 오염물질이 빗물에 씻겨 하천이 오염됩니다. |
많은 비가 그대로 유입되면 처리시설이 커지고 효율이 저하됩니다. |
비가 오면 우수토실에서 적정 하수량을 하수처리장으로, 나머지는 하천으로 방류합니다. |
※ 분류식 하수도에서는 처음부터 빗물과 오수가 분리되므로 우수토실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
맑은 날 | 강우 시 | 폭우 시 |
---|---|---|
유량배분목적으로 수로를 횡단하여 설치하는 구조물 |
오수는 처리장으로 모두 이동! |
일부는 하천으로 방류~ |
우수토실의 종류
종류 | 특징 | |
---|---|---|
고정식 | 위어식, 오리피스식, 밸브식 | 소규모, 유량조절 어려움 |
기계식 | 수동식 수문, 부표연동식 수문 | 중규모, 수동 수문 조절 |
자동식 | 전동식 수문 | 대규모, 가장 효율적 |
우수토실 크기는 어떻게 결정하나요?
-
1. 먼저 우수월류량을 결정하여야 합니다.
우수월류량은 우천시 하천으로 바로 방류되는 하수량을 말합니다.
우수월류량=①계획하수량-②우천시 계획오수량
① 계획하수량: 계획시간최대오수량+계획우수량
- 계획시간최대오수량: 계획오수량을 시간 단위로 산정했을 때 가장 많은 오수량
- 계획우수량: 강우 시에 하수관로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(침투,증발 제외)
②우천시 계획오수량
- 합류식에서 오수로 취급하는 하수량으로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의 3배로 산정 -
2. 위어의 길이로 우수토실의 크기를 결정합니다.
우수월류량을 완전월류시킬 수 있는 위어의 길이를 구하고 이에 따라 우수토실의 크기를 결정합니다.
- L: 위어길이(m) / Q: 우수월류량(㎥/일) / H: 월류수심(m)
1. 오수관 양끝에 고무마개를 끼웁니다.
2. 오수관에 물을 채워 시험관 높이까지 차면 물을 잠급니다.
3.30분 동안 줄어든 물의 양이 허용누수량 이하면 합격!(관이 깨져 있거나 연결부분에 틈이 있으면 시험관의 물이 줄어듭니다.)
※ 물 대신 공기압으로 검사하기도 합니다.
수밀검사 외에 CCTV검사, 연막검사로도 확인합니다.
-
CCTV검사
관로 안에 비디오카메라가 달린 작은 모형 차를 넣어 파손된 곳이 없는지를 확인합니다.
-
연막검사
연기를 관로 안에 불어 넣어 오수관이 잘못 연결된 곳은 없는지 확인합니다.
아하~ 그렇군요!
-
작은 호스로 물이 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?
- 물기둥의 높이가 같으면 연결된 호스의 크기나 길이에 상관없이 누르는 힘(입력)은 같습니다.
- 따라서 작은 호스로도 물이 줄어드는 높이를 보면 하수관이 얼마만큼 새는지 알 수 있습니다.
* 물기둥의 높이가 같으면 큰 물통에 있는 A물고기와 작은 물통에 있는 B물고기, C물고기가 받는 압력은 모두 같습니다.
수밀검사로 하수가 땅 속으로 새는지, 지하수가 관로 안으로 들어오는지 확인합니다.
-
양수시험
지하수위가 관상단에 있을 때 하는 시험
-
누수시험
오수관에 물을 채운 후 관로누수량을 측정
-
공기압시험
공기압력 값으로 새는 곳이 있는지 확인
-
연결부시험
패커를 이용해 관연결부에서 새는지 확인
-
압송관수압시험
높은수압으로 압송관에 새는 곳을 확인
-
맨홀누수시험
누수검사맨홀 정확한 누수부위 확인
* 침입시험(외부→내부침입) 침출시험(내부→외부침출)
수밀검사(누수시험) 순서
- 01. 관 내부를 청소합니다.
- 02. 오수관 양끝에 고무마개를 끼운 후 공기를 불어넣어 팽팽해지도록 합니다.
- 03. 물주입밸브 공기제거밸브를 열어 기포가 생가지 않도록 오수관에 물을 채웁니다.
- 04. 오수관에 물이 가득 차면 공기제거밸브를 잠그고, 시험관에 물이 차면 물주입밸브를 잠급니다.
- 05. 관로에 물이 충분히 채워지면(10분) 감소량만큼 시험관에 물을 채웁니다.
06. 30분 동안 시험관의 물높이가 일정하도록 사용한 물의 양을 측정합니다.
07. 사용한 물이 허용량 이하면 합격!
아하~ 그렇군요!
-
허용누수량 기준은 어떻게 되죠?
누수량은 추가 주입된 물의 양을 물과 관로의 접촉면적(관둘레X관길이)으로 나누어 계산 할 수 있습니다. 누수량이 허용누수량보다 적으면 합격, 많으면 불합격입니다.
허용누수량 기준
시험대상 | 관경 | 적용수두 | 예비시간 | 측정시간 | 수두저감허용치 | 허용누수량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관로 | 1,000㎜미만 | 상류측 최소 1m 하류측 최대 5m 최소 1m |
콘크리트계열 30분~1시간 비콘크리트계열 10분 |
30분+-1분 | 10㎝ | 0.15ℓ/㎡ |
관로+맨홀 | 0.20ℓ/㎡ | |||||
맨홀 | - | 0.40ℓ/㎡ | ||||
이음부 | 1,000㎜이상 | 5m | 0.15ℓ/㎡ |
관경별 허용누수량
관경(㎜) | 허용누수량(ℓ/m 10분) | 관경(㎜) | 허용누수량(ℓ/m 10분) |
---|---|---|---|
150 | 0.025 | 450 | 0.075 |
200 | 0.033 | 500 | 0.083 |
250 | 0.042 | 600 | 0.010 |
300 | 0.050 | 700 | 0.117 |
400 | 0.067 | 800 | 0.133 |
내부검사로 관로상태를 확인하고, 이상부위를 찾아냅니다.
1,000mm이상 관로내부를 검사원이 손전등과 반사거울로 직접 점검하는 검사로 CCTV 조사 전에 시행합니다.
조사절차
관로청수(준설) → CCTV설치 → 조사 → 영상검토 및 조사보고서 작성
1,000mm미만 관로나
유독가스발생,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관로는 비디오카메라가 달린 모형차를 넣어 모니터로 확인합니다.
오접검사로 빗물관과 오수관이 잘못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며, 유입수 및 침입수의 경로를 파악합니다.
연막검사 | ※연기 때문에 화재로 착각할 수 있어 주변에 충분히 알리고 시험합니다. ※인체에 무해한 연기를 사용합니다. |
|
---|---|---|
염료검사 | 하수관로 상류에서 형광염료를 투입하고 하류에서 염료농도를 분석하여 흐름 경로와 침출수, 침입수 발생을 파악합니다. | |
음향검사 | 하수관로를 통해 발신음을 수신하여 연결경로와 접합관 등을 파악합니다. |
사람이 들어가는 구멍, 맨(Man)홀(Hole)
관로유지관리를 위해 사람이 들어가도록 만든 시설구분방법 | 맨홀의 종류 |
---|---|
형태 | 표준맨홀(원형), 특수맨홀(각형) |
크기 | 1호맨홀(내경 900mm 원형)~ 5호 맨홀(내경 2,100mm 원형) |
설치위치 | 중간맨홀 : 각각 1개의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직선상으로 위치 합류맨홀 : 유입관과 유출관이 일직선상에 없거나 유입관이 2개 이상 |
제작방법 | 현장타설맨홀 :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에서 제작하는 맨홀 PC맨홀 : 공장에서 제작되는 맨홀 |
맨홀 설치순서
-
1. 터파기, 바닥면 평탄화
-
2. 하부블록 설치
-
3. 하부블록에 고무지수링 접속관을 삽입
-
4. 하부블록-삽입관 들레에 방수시트나 거푸집 설치
-
5. 인버트 설치, 높이조절용 블록 설치
-
6. 무수축몰탈주입 후 철근삽입
-
7. 상부블록 설치, 사다리 설치
-
8. 맨홀 수밀검사
-
9. 되메우기
아하~ 그렇군요!
-
맨홀 뚜껑에는 왜 원형을 많이 사용하나요?
어떠한 방향으로 여닫아도 뚜껑이 빠지지않고 하중이 골고루 전달되어 부서질 가능성이 적습니다. 또한 맨홀이 열릴 경우 타이어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도 낮습니다.
-
맨홀 뚜껑에 잠금 장치가 있는 이유는?
차량통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도난 분실이나 폐기물 불법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.
하수관로 안에 하수찌꺼기가 쌓입니다.
찌꺼기를 그대로 두면
-
하수 넘침
하수가 넘치고 침수피해가 발생합니다.
-
악취 발생
찌꺼기가 썩어 악취가 나고 병충해가 들끓습니다.
-
처리장 운영곤란
하수량과 수질이 불규칙하여 운영관리가 힘들어집니다.
※하수관로 안에 쌓이는 하수찌꺼기는 혈관질환을 발생시키는 혈전과도 같습니다.
하수관로는 정기적인 청소를 실시합니다.
배수설비의 역할
오수와 빗물을 구분하여 모읍니다 |
※오수와 빗물이 섞이면 하천이 오염되고 처리장 효율이 낮아집니다. |
|
---|---|---|
정화조에 대한 걱정이 없습니다 |
※오수와 빗물이 분리되는 분류식 하수도에 적용됩니다. |
|
하수구 냄새가 없어집니다 |
※흐린 날에도 악취가 없어져 생활환경이 좋아집니다. |
배수설비 유지관리 청소
변기에 칫솔, 담배꽁초 등 이물질 투입금지 | 음식물 찌꺼기는 거름망으로 분리하여 배출 | 오수받이에는 쓰레기나 오물 투기 금지 | 악취, 병충해 방지를 위한 정기적인 청소 |
---|---|---|---|
|
주민 여러분의 협조가 필요합니다.
-
청소목적 외 오수받이 뚜껑 개폐금지
오수받이로 빗물이 들어가 하수처리장에 피해가 발생합니다.
-
베란다에 세탁기 설치는 금물
베란다 배수구는 빗물관에 연결되어 있어 세탁오수가 바로 하천으로 들어가게 됩니다.
-
옥외 수도전 시설 개선
※옥외수도전이 빗물관에 연결된 경우빗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빗물유입 방지턱이나 지붕, 배수구마개를 설치합니다.
오수받이
설치위치 | 음식물 찌꺼기는 거름망으로 분리하여 배출 |
---|---|
재질 |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|
형상 | 원형 또는 각형 |
내부치수 | 원활한 유지관리 및 오수흐름이 가능한 크기
|
연결관
배수설비 공사 절차
아하~ 그렇군요!
-
왜 배수설비공사는 나누어서 하나요?
하수처리장 운영 전에는 오수받이설치-연결관-오수관로(본관)연결까지만 공사하고 처리장 운영이 시작되기 직전에 가정배수관-오수받이 연결까지 공사합니다. 이것은 처리장 운영 전에 처리장으로 오수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.
안전사고는 예방이 중요합니다.
- 건설현장 안전사고는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로 이어지므로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합니다.
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
안전사고 발생유형 및 대책
굴착면 경사 준수 및 흙막이 지보공 설치 | 철저한 구조검토 및 세부조립도 작성 | 신호수배치 및 건설기계 사용 전 점검 |
---|---|---|
전기관련 안전조치 준수(접지, 누전차단기) | 안전용 맨홀커버, 안전통로, 추락방지망 설치 | 작업전 유해 가스 점검 및 사전환기 |
주민 여러분의 협조가 필요합니다.
※출처 : 한국환경공단